root 접속하는 이유 Ec2 인스턴스 생성 시 ubuntu 계정으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. 패키지를 설치하거나 쉘 스크립트를 실행할 때 sudo 를 사용하는 불편함을 줄이기 위함입니다. 설정방법 1. 초기 비밀번호 설정 sudo passwd // 비밀번호 입력 2. ssh 설정 vi /etc/ssh/sshd_config root 비밀번호 로그인 허용 시 PermitRootLogin yes root ssh 접속만 허용 시 PermitRootLogin prohibit-password service sshd restart vi root/.ssh/authorized_keys private key 내용 확인 및 접속하기 위한 private key 를 추가 이렇게 설정하면 접속이 가능합니다. 에러 발생 시 auth..
Server

1 - CSR 생성 mac → 키체인 접근 → 인증서 지원 -> 인증기관에서 인증서 요청 2 - DNS 검증 SSL 인증서를 발급하기 전에, 해당 도메인의 소유주가 맞는 지 확인하는 검증 단계입니다. 도메인 구입 사이트 또는 호스팅 사이트에서 cname 등록인 필요합니다. (ex. aws route53, gabia 등) 하루를 기다려도 검증이 안될 시 잘못 입력한 부분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 Type: CNAME Record Host: CNAME Value: CNAME value TTL: Automatic 🚫 주의할점: Host 입력 시 도메인 제거 후 입력할 것! 3 - SSL 인증서 다운로드 DNS 검증 완료 시 구매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 4 - chain 파일 생성 (필요 시) SSL & CSR..

1 - git 접속 에러 새로운 노트북을 이용할 때 github, gitlab 에 처음 계정을 연동해서 이용할 때 https remote 주소로 부터 깃을 관리할 때 권한 에러를 마주할 수 있습니다. 이에 대한 반복된 검색을 줄이면 좋을 거 같아서 포스팅을 시작합니다. github 에러 $ git push origin main Username for 'https://github.com': vvs-kim Password for 'https://vvs-kim@github.com': remote: Support for password authentication was removed on August 13, 2021. remote: Please see https://docs.github.com/en/get-st..